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여행+핫이슈] “진에어 비행기는 위험합니다” 현직 진에어 기장의 내부 고발…진실공방

장주영 여행+ 기자 조회수  

[여행+핫이슈] “진에어 비행기는 위험합니다”

현직 진에어 기장의 내부 고발…진실공방

“진에어 비행기는 위험합니다.”

외부의 목소리가 아니다. 내부 고발 차원의 경고라는 점에서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물론 익명을 보장한 직장인 커뮤니티 내용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하지만 해당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려면 직장 인증을 거쳐야 해 내부 고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해당 글은 ‘적어도 7, 8월에는 진에어 타지 마세요(feat. 현직 진에어 B737 기장)’라는 제목으로 지난 10일 올라왔다. 게시자는 “회사의 행태를 고발할 겸 언론사 태그도 같이 넣는다”며 회사를 향한 선전포고도 잊지 않았다. 아울러 “많은 분들이 이 글을 퍼뜨려 주면 고맙겠다”면서 “항상 승객분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기장으로서 안전을 위협하는 회사가 변하길 바란다”고도 적었다.

현직 기장이라고 밝힌 진에어 내부인의 속사정이 사실이라면 실로 충격적이다. 일단 여행업계 최대 성수기 중 하나인 7, 8월에 진에어 탑승은 위험하다는 주장은 ‘안전’과 직접 관련이 있는 만큼 회사 차원이 아닌 국토교통부 등 행정부에서 확인이 필요하다.



사진 = 진에어



게시자는 성수기를 앞둔 진에어는 비행기를 조종할 조종사가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게시자의 주장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비행기 한 대당 기장과 부기장이 각 8명씩 필요하다고 권고하고 있다. 이에 31대를 운용 중인 진에어는 기장과 부기장이 240명씩 필요하나 현재 기장 240명, 부기장 185명밖에 안되는 상황이다.

그는 조종사 복지처우의 심각성에 대해서도 질타했다. 게시자는 “타 항공사는 휴무가 월 10일 보장이지만 진에어 운항승무원은 월 9일만 보장받고 있다”며 “심지어 7월 성수기에는 부기장의 휴무를 월 9일에서 8일로 줄여 운용할 예정이라는 내부 소식까지 있다”고 전했다.

게시자는 “성수기니까 그 정도 희생쯤은 감수할 수 있는 것 아니야”라는 주위 시선에 대해 “동남아에서 밤새고 들어와 그 다음날 새벽에 비행하는 등 인간의 생체리듬을 무시당하는 스케줄을 소화하고 있어 피로감에 찌들어 있다”고 반박하며 “조종사에게 안전운항을 위해 휴식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기장이 모자라게 된 이유에 대해서도 꼬집었다. 게시자는 “경영진의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한 무분별한 힘든 스케줄, 물가상승률에 훨씬 못 미치는 임금인상률과 체류하는 호텔 및 기내식의 품질저하로 인한 사기저하 등 때문에 회사를 나가는 부기장은 많아지고, 들어오려는 조종사는 줄고 있다”고 한탄했다.

게시자는 이런 점 때문에 진에어 비행기 탑승이 위험하다고 거듭 주장했다. 성수기의 무리한 스케줄은 적은 인원이 소화하기에 항공기 운항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게시자는 “새벽 4시에 일어나 김포~제주~김포~제주를 오가는 비행을 3일 연속한 뒤 하루 쉬고 또 반복한다”며 “동남아에서 밤을 새고 온 조종사가 다음날 새벽 3시에 일어나 아침에 일본 비행을 가기도 한다. 졸리고 피곤한 건 기절 직전이지만 승객의 안전을 위해 허벅지를 꼬집어 가며 비행을 한다”고 안타까워했다.

진에어 사측이 내놓은 대처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게시자는 “부기장이 모자라 회사에서 세운 대안으로 기장 2명을 조종석에 앉혀 비행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며 “기장과 기장 체제로 같이 비행할 시 안전에 문제가 많았음을 알고 있는데도 회사는 인력을 충원할 생각은 없고 모자란 인력을 쥐어짜서 넘기려고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부실 및 위생 관리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 받은 기내식 / 사진 = 커뮤니티

 

승무원의 건강관리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그는 승무원이 먹는 기내식 사진 3장을 올리며 곰팡이가 핀 빵, 냄새나는 베이컨 등 위생상태를 염려했다. 게시자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기장과 부기장은 서로 다른 식사를 한다는 얘기를 들어봤을 것”이라며 “서로 다른 식사를 해도 저런 음식을 먹으면 식중독에 걸릴까봐 끼니를 굶는 분들도 많다”고 전했다. 아울러 “회사에 개선해 달라고 해도 바뀌는 것은 없었다”며 “경영진은 영업이익만을 얻기 위해 승무원의 건강과 피로도는 무시한 채 비용절감에만 목을 메고 있다”고 질타했다.

게시자는 “진에어는 안전운항에 매우 위험하다”며 “피곤하고 졸리고 배고프고 혹은 배아픈 조종사가 조종하는 진에어 비행은 승객 여러분은 피했으면 좋겠다. 사고가 나면 안되겠지만 곧 사고가 날 것 같은 느낌이 난다”고 우려했다.

현재 게시자가 올린 글에 현직 진에어 근무자들도 연이어 제보를 하고 있다. “연차를 신청하면 한달에 쉬는 9일 중 하루를 넣고 연차반영을 안해준다” “못 쓴 연차가 수십개씩 쌓여있다” “원가절감 적당히 하자” “최근 기장 몇 분이 비행하다가 심장 부여잡고 겨우 랜딩하고 스탠스 박고 몇 달 쉬었다. 30대 캐빈(승무원)은 수면 중 돌연사했다” 등이다.

이에 대해 진에어 측은 최근 커뮤니티에 올라온 익명 게시자의 글은 일방적인 주장일 뿐 사실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진에어 홍보팀 관계자는 여행플러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진에어는 국토교통부의 권고 사항을 준수하고 있다”며 “운항 승무원 보유 및 운영 등에 있어 안전 운항에 이상 없다”고 밝혔다.

조종사가 부족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현재 진에어 보유 기재는 31대가 맞다. 운항 승무원 인원수는 훈련 인원 포함해 총 543명 보유 중”이라면서 “훈련 요원을 제외한 기성 운항 승무원은 435명으로 대당 14명, 7SET를 보유하고 있다”고 커뮤니티 글 게시자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진에어에 따르면 이는 국토교통부 권고 사항인 대당 기장 6명, 부기장 6명, 총 12명의 6SET 규정을 충족하는 조건이다.

또한 진에어는 성수기 기준 부기장 휴무 일수를 하향 조정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장 2명 체제로의 변경에 대해서도 “현재로서 계획은 없지만 위법사항은 아니라고 한다”고 답했다.

기내식이 부실하거나 위생상태가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 진에어는 “승무원 기내식의 경우 직원들 피드백을 통해 정기적으로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곰팡이 등 기내식 문제가 발생하면 담당 부서에 보고하게끔 돼 있는데 현재까지 담당부서가 접수한 내용이 없다”면서 “곰팡이 핀 빵의 검은 반점이 실제 곰팡이인지 여부 또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고, 기내식 공급업체에 확인 결과 해당 사진으로는 당사에 공급된 제품으로 단정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장주영 여행+ 기자

관련기사

author-img
장주영 여행+ 기자
content@www.tripplus.co.kr

[여행꿀팁] 랭킹 뉴스

  • 김연아, “아름다운 경관도 함께 즐기길” 밀라노 코르티나 동계 올림픽 설명회 열려
  • [여플 팩트체크] 기장 두 명이 비행기 조종을 하는데 왜 위험한가요?
  • 웹드라마 ‘여행에서 로맨스를 만날 확률’ 시즌3.5, 12일 공개…이번 여행지는?
  • 10년 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부킹닷컴이 발표한 지속가능한 여행 보고서 내용 살펴보니
  • 파라다이스 최대 축제, 제15회 맞은 아이소리 행사 현장 직접 가보니
  • “세븐틴 월드 투어 주요 도시마다 협업 진행할 것” 에어비앤비 CEO도 푹 빠진 K-컬쳐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