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간호인력 부족 해결할 코로나 ‘알약’ 개발한다.

장주영 여행+ 기자 조회수  

팬데믹 시대 만성 간호인력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알약 개발’이다. 주사는 간호사가 환자와 일대일로 만나야 하기 때문에 공간적·시간적 제약이 크다. 이에 반해 알약 치료제는 간호사 한 명이 여러 환자를 한꺼번에 돌볼 수 있어 의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알약 치료제가 곧 현실이 된다고 한다. 로이터 통신은 현지시간 27일 화이자(Pfizer)의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개발 현황을 보도했다.

출처 – Unsplash

제약회사 화이자가 알약 형태의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2상 임상실험에 돌입했다. 현재 실험 치료제는 PF-07321332(이하 PF-07)라는 복잡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14일간 18세 이상 성인 남녀 2천660명을 대상으로 PF-07의 효능을 검사한다. 피실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에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고, 다른 한쪽에는 가짜 약을 먹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출처 – Unsplash

PF-07의 기본 원리는 ‘바이러스 증식 억제’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데 필요한 핵심 효소의 활동을 억제시킨다. 막 코로나19 감염 증상이 시작됐거나 바이러스에 노출됐음을 인지한 초기 환자에게 효과적인 약이라고 화이자는 밝혔다. 미카엘 돌스턴(Mikael Dolsten) 화이자 연구 총책임자는 “(실험에 성공한다면) 새 약은 바이러스가 폭발적으로 증식하기 전에 미리 차단시킨다. 따라서 막 감염된 사람이 증상이 발현되기도 전에 치료를 끝마칠 수 있다”라고 27일 발표했다.

다른 경쟁업체들도 경구약 개발에 한 걸음씩 다가가고 있다. 미국 제약업체 머크(Merck)사와 스위스 제약업체 로체 홀딩(Roche Holding)도 알약 치료제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다. 특히 머크사의 경구약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는 중증 완화 효과에 대한 마지막 임상실험에 도입했다.

알약 치료제가 완성될 경우 주사 치료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사치료는 필연적으로 ‘주사 쇼크’ 위험을 안고 있다. 특히 근육주사에 쇼크가 잘 생긴다. 알약을 이용한다면 비교적 주사에 민감한 아동·청소년 및 노인층에 대한 치료가 한결 수월해진다.

[이동흠 여행+ 인턴기자]

관련기사

author-img
장주영 여행+ 기자
content@www.tripplus.co.kr

[여행꿀팁] 랭킹 뉴스

  • 김연아, “아름다운 경관도 함께 즐기길” 밀라노 코르티나 동계 올림픽 설명회 열려
  • [여행+핫이슈] “진에어 비행기는 위험합니다” 현직 진에어 기장의 내부 고발…진실공방
  • [여플 팩트체크] 기장 두 명이 비행기 조종을 하는데 왜 위험한가요?
  • 웹드라마 ‘여행에서 로맨스를 만날 확률’ 시즌3.5, 12일 공개…이번 여행지는?
  • 10년 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부킹닷컴이 발표한 지속가능한 여행 보고서 내용 살펴보니
  • 파라다이스 최대 축제, 제15회 맞은 아이소리 행사 현장 직접 가보니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