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대마야 잘 자라거라” 대마 풍년을 기원하는 美 ‘대마초 수녀들’의 사연

조유민 여행 + 기자 조회수  

미국 캘리포니아의 자칭 수녀 집단대마초 생산을 통해 연간 수억 원의 수익을 얻는다는 사연이 공개돼 화제다
.

사진 – Sisters of the Valley 트위터 (@sistersofcbd)

 BBC 등 외신은 대마초를 수확하고 판매하여 생계를 이어나가는 수녀들의 사연을 공개했다. 케이트 수녀(Sister Kate)가 이끄는 다섯 명의 일명 대마초 수녀들

(Weed Nuns)’은 캘리포니아 중앙부의 센트럴 벨리(Central Valley)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다. 그들은 공식 가톨릭 교단에 속하지는 않지만 수녀복을 입고, 6
가지 자체 서약을 준수하며 살아간다.

그들의 주 수입원은 대마초다. 1200평에 달하는 농경지에서 대마초를 생산한다. 그들이 기르는 대마초는 향정신성 화학물질인 THC

를 제거한 종이다. THC를 포함한 마약류는 긴장 완화와 환각 및 진정 작용을 일으킨다. 대신 의료용 대마초를 생산
한다는 게 그들의 설명이다. 케이트 수녀는 자신들이 수확하는 대마초는 대마계의 치료성분인 칸나비디올(CBD)
을 포함하여 다양한 질병에 치료 효과를 갖는다
고 설명한다. 그는 일반적으로 만성 통증 치료에 칸나비디올을 사용하며, 이는 염증을 낮추고,
불안과 우울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사진 – flickr(좌), Sisters of the Valley 트위터(우)

수녀들은 수확한 대마를 다양한 약품으로 가공해 판매한다. 불면증,

관절염, 불안 등 다양한 질병에 관한 제품이 있다. 대마 가공 약품으로 얻는 연간 수익은 억 단위에 달한다


캘리포니아는 미국 내 대마 생산의 본거지다. 1996년에 미국 최초로 의료용 대마초를 합법화했으며,

2016년에는 기호용 대마마저 합법화했다. 다만 캘리포니아 내에서각 자치구나 지역에 따라 대마의 적법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혼란이 극심한 상태다. 캘리포니아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이 대마초 사업체를 금지하며,
대마초 수녀들이 거주하는 머세드 자치구(Merced County)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들의 대마 재배 행위는 사실상 위법 행위다.


글=조유민 여행+ 인턴기자
감수=홍지연 여행+ 기자

관련기사

author-img
조유민 여행 + 기자
content@www.tripplus.co.kr

댓글0

300

댓글0

[해외] 랭킹 뉴스

  • “온천부터 트러플 사냥까지”…지금 호주서 인기라는 웰니스 명소 5곳
  • 초대받은 사람만 가입 가능… ‘50조 매출’ 초호화 커뮤니티 정체
  • 날로 수요 증가하는 여행자 보험…여행업계서 '이런 서비스’까지 나왔다
  • ‘망한 도시’라 불렸지만…배우에서 화가로, 박신양이 마음 준 日 마을
  • 2025 올해의 여행지 선정된 이 나라, 한국 마이스 여행객도 사로잡았다
  • "일본인도 부러워해" 대세 아조씨 추성훈이 푹 빠진 日 여행지

추천 뉴스

  • 1
    가정의 달 5월, 온 가족이 즐거운 호텔 미식 프로모션 모음

    국내 

  • 2
    노트르담 복원팀 건축가와 투어…에어비앤비, 호텔급 서비스와 업그레이드 체험 제공한다

    여행꿀팁 

  • 3
    40년간 6000만 명 방문한 에버랜드 장미축제…올해가 ‘진짜’라고?

    국내 

  • 4
    '로마, 산토리니, 일본이 포항에?!' 해외 느낌 나는 국내 카페 3선

    국내 

  • 5
    하산 맛집부터 미술관까지…5월 가볍게 떠나기 좋은 관악산 여행 코스

    국내 

지금 뜨는 뉴스

  • 1
    아시아에서는 서울 성수동이 최초…픽사 세계관 아우르는 ‘문도 픽사’ 전시 직접 가보니

    국내 

공유하기

0